본문 바로가기
질병이야기

눈 이야기 - 황반변성

by 눈꽃약사 2022. 12. 19.
반응형

황반변성은?

노인 황반변성

지난 눈 구조에서 살펴본 황반이라는 부위에서 흔히 생기는 질환인 황반변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황반은 안구의 필름, 망막 중심부위로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체가 밀집된 곳입니다.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 황반이 변성되어 즉, 밀집된 시세포 등이 더 이상 시각을 형성할 수 없는 조직들로 대체되고 시력이 감소되는 질병입니다.

요인에는?

대개 많은 황반변성은 나이관련해서 찾아오는데 주로 노화에 의해 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요인들을 살펴보면

  • 나이
  • 흡연
  • 유전적 요인, 인종 - 백인>아시아>흑인 순으로 빈도가 줄어들고 가족력이 있을 경우 3배 정도 위험(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경우), 스타가르트병(ABCA4 유전자 이상으로 10대에 황반 이상이 시작되기도 하며 예정된 시력 장애로 치료방법은 없다).
  • 안과 - 원시나 백내장 수술 받은 경우 나이 관련 황반변성 위험도가 더 높음.
  • 비만, 콜레스테롤 - 나이관련 황반변성 위험
  • 근시성 황반변성 - 고도 근시에서 발생, 안구의 크기 대비 굴절력 비율이 맞지 않아 너무 앞에 상이 맺히는 경우 안구의 벽이 약해져 변성이 일어나는 이상

유형은?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 비삼출성(건성) - 망막에 드루젠(둥근 황갈색 노폐물)이 쌓여 망막이 위축,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대부분, 자각증상이 잘 느껴지지 않고 서서히 시력이 감소
  • 삼출성(습성) - 황반 아래 신생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자라는 경우. 이 혈관의 경우 약하고 터지기가 쉬워 혈액과 삼출물이 흘러 황반에 손상, 급속히 나빠지는 경과를 보임.

황반변성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증상에는?

건성의 경우 서서히 감소하는 경우가 많아 자각하기가 쉽지 않은데 글자, 직선이 흔들려보이거나 굽어 보이고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더욱 심해짐. 단어를 읽을 때 공백이나 그림 볼 때 지워진 것처럼 느껴지면 바로 안과 방문.

황반변성 검사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치료 방법에는?

완치는 어려운 질환이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면 속도를 최대한 늦출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고지혈증, 비만, 흡연, 자외선 등 위험요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합니다.

건성 황반변성의 경우 초기(치료보다는 위험요인 관리를 우선으로 1년 정기적 검진), 중기, 말기는 최대한 시력저하 속도 늦춤이 우선. 식이보충(루테인, 지아잔틴, 비타민C, E, 아연, 구리)을 잘 보완하기.

습성인 경우 적극적 치료 권장. 맥락막 신생혈관은 VEGF(혈관내피성장인자)가 중요 역할을 하는데 VEGF의 항체를 직접 주사로 투입하여 억제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막아 치료. Brolucizumab, Aflibercept, Ranibizumab, Bevacizumab 등으로 일차 치료하고 시력보존에 유리하며 한달간격으로 3회 정도 주사, 일 년에 평균 5~7회 치료. 광역학 치료는 베르테포르핀(광감작 물질)을 주사한 후 신생혈관에 비열성 레이저를 조사, 레이저가 약을 활성시켜 신생혈관을 파괴하는 방법.

식이요법

식이보충(루테인, 지아잔틴, 비타민C, E, 아연, 구리)이 중요한 만큼 증상에 따라 미리 챙겨 황반변성을 예방

눈 건강(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 비타민A, 오메가) :: 눈꽃약사 노트 (tistory.com) 참조.

반응형

'질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이야기 - 망막박리  (0) 2022.12.21
눈 이야기 - 비문증  (0) 2022.12.20
눈 이야기 - 안검하수  (1) 2022.12.16
눈 이야기 - 다래끼  (1) 2022.12.15
눈 이야기 - 사시  (0) 2022.1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