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이야기

녹내장 치료제 - 교감신경 작용, 흥분, 아이오피딘, 알파간피 등

by 눈꽃약사 2023. 1. 4.
반응형

교감 신경 흥분제 알파 2 agonist

안약 녹내장

지난 시간에 이어 녹내장 치료제 중 하나인 교감신경 흥분제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PG제제와 BB제제 말고 대체적으로 사용하는 알파 2 agonist인데요. 눈 속에 교감신경에는 알파 1, 2, 베타 2 가 존재하는데 a1 receptor는 모양체의 수축으로 방수가 생성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a2 receptor는 자극을 받게 되면 모양체 상피에서 방수 배출을 증가, 생성을 억제합니다.

알파 1은 모양체 혈관을 수축시켜 방수 생성을 저하하는데 억제 시 방수 양이 증가하지만 알파2, 베타2 에 의해 방수 배출이 조절됨. 알파2는 방수 분비 배출을 돕고 생성을 억제. 베타2는 모양체 상피에서 방수 생성을 촉진.

 

작용기전은?

알파2 agonist는 a2 receptor에 흥분제로 작용해서 a1, b2 억제시켜(a1 억제시 홍채이완근에 작용하여 동공이 넓어지고 상공막 혈관을 이완시켜 포도막공막으로 방수 유출이 증가, b2 억제시 방수의 생성이 줄어들어 효과) 모양체 상피에서 방수가 생성되는 것을 막고 포도막공막쪽으로 방수의 배출이 증가되어 안압이 하강.

종류에는?

  • Apraclonidine - clonidine의 유도체로 알파 2 선택적 agonist. 지질 친화성이 적은 편으로 각막으로 흡수가 느려서 결막, 공막으로 흡수되어 모양체로 전달. BBB를 통과가 적어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적고 단기간 효과(4시간)로 레이저 등 시술 후에 안압이 높아지는 것을 예방차원에서 투여, 단기적으로만 사용
  • Brimonidine - 가장 흔히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알파2 agonist로 알파 1 receptor에 대해 작용도 나타냄. 앞서서 살펴봤던 티몰롤보다는 안압강하효과가 떨어지고 BBB를 통과하여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있는 편이고 15세 이하는 사용을 자제(5세 이하는 금기), 신경보호 효과(유해 환경(허혈 상태 등)으로부터 망막신경절세포의 손상을 막음)

효과 비교

apraclonidine보다 brimonidine의 안압강하 효과가 좀 더 좋은 편

반응형

부작용은?

  • 알레르기 반응 - apraclonidine과 brimonidine 둘 다 관찰, 가장 흔한 편이며, 눈꺼풀 쪽에 염증이 생성.
  • 눈꺼풀 조임 - a1 수용체에 작용하는 brimonidine에서 뮐러근에 작용해서 나타남.
  • 산동반응 - a1 수용체에 작용하는 brimonidine에서 홍채에 작용.
  • 안검하수에 작용 - 뮐러근 알파 2 receptor에 작용하여 눈꺼풀을 올림
  • 창백한 결막 - 결막 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수축, 충혈을 일시적 완화, 수술 시 출혈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함.
  • 전신부작용 - brimonidine이 apraclonidine보다 큰 편, 졸음, 피로, 입마름 등 중추신경계 작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