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이야기

녹내장 치료 - 베타 차단제(티몰롤, 베탁솔롤, 레보부놀롤, 카테올롤)

by 눈꽃약사 2022. 12. 30.
반응형

베타차단제

베타차단제 점안액

녹내장 치료 시에 가장 1차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은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와 베타차단제입니다. 오늘 시간에는 베타차단제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beta blocker(베타차단제)는 안구 속에 교감 신경중 베타 수용체의 신호를 차단하여 교감신경 차단제로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자세히 표현하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약식으로 교감신경차단제, 베타차단제, beta blocker, 줄여서 BB라고 말합니다.

안구 내에 방수를 생성하는 섬모체(모양체) 상피 혈관 쪽에 B2 수용체가 존재합니다. 이 수용체가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면 혈관이 확장하여 혈류가 섬모체로 유입됩니다. 이 혈액의 공급으로 인해 방수 생성이 늘어나게 됩니다. beta blocker는 B2 receptor에 antagonist로 작용하여 자극을 차단, 혈류가 섬모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여 방수 생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작용기전

위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모양체 상피 쪽 교감신경 B2 수용체를 차단해서 혈류의 흐름을 감소시켜 방수 생성을 적게 만들어서 녹내장 치료.

종류

  • Timolol - 가장 대표적 B 차단제 중 하나로 B1, B2를 비선택적으로 차단합니다. 각막 투과성이 높아 1-2h 후 안압이 빠르게 감소 3,4h 후 안압 최저로 내려갑니다. 프로스타글란딘과 달리 수면 중 안압 강하는 없고 장기간 사용 시 효과가 감소, 전신부작용이 있는 편인데 중추에 작용해 기억력 장애, 불안, 피로, 환각 등 또는 심혈관(서맥), 기관지 수축 등이 있을 수 있고 한쪽 눈에 투여 시 전신 순환으로 다른 쪽 눈에서도 안압하강이 있을 수 있음. 국소적으로는 안구에 건조, 이물감, 통증, 포도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Betaxolol - 선택적인 B1 차단제로 고농도에 경우 B2 일부도 차단하여 효과(하나의 가설로 다른 가설로는 섬모체에 B1 수용체가 존재, 또다른 가설은 교감 신경 말고 다른 기전으로 안압을 감소). Timolol 보다는 적은 효과지만 신경 쪽 혈류를 개선시켜 신경을 보호하는 효과, 티몰롤에 비해 전신으로 부작용이 적은 편으로 심혈관 쪽 부작용은 비슷하지만 호흡기계는 적음. 점안 시 작열감, 통증 등이 있음. 
  • Carteolol - 비선택적 B1,2 차단제로 점안 시 초반에 교감신경 항진효과로 심혈관 부작용감소를 기대하였으나 부작용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음, 지질이상 관련 부작용은 감소.
  • Levobunolol - 비선택적 B1,2 차단으로 1시간 후 작용 시간 후 3시간 후 최대 강하. 현재는 생산중단.

주의

  • 흔한 부작용은 안구 자극감, 통증, 이물감
  • 기관지 질환(천식, COPD), 심장질환자 등은 미리 상담.
  • 당뇨 등으로 혈당 조절제를 투여중인 환자의 경우 저혈당 상태가 되어도 베타차단제 약물의 영향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니 지속적 혈당체크에 유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