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ndroitin(콘드로이틴)
오늘은 tv 광고에서 핫한 콘드로이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연골에 관해서 떠오르고 있는데 콘드로이틴은 연골 구성하는 성분으로 연골에 영양 공급하고 물리적 스트레스를 흡수하는 유액이 머물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1. 관절 연골
관절 연골은 콜라겐(1형, 2형)을 가지고 있는데 다른 조직서 보이는 1형과 달리 2형은 교차 결합과 나선형 구조로 촘촘한 특징을 지닙니다. 질긴 형태 덕분에 연골이 잘 유지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 다른 중요한 구조는 단백 다당입니다.
단백 다당은 줄기가 있고 가지들이 있는 형태와 유사합니다. 이 중 글리코사미노글리칸에 콘드로이친 황산염을 비롯 여러 뮤코다당이 단백질 복합체를 구성하여 탄력성과, 운동성, 인대 기능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2. 퇴행성 관절염 - 기계적 마모
체중을 버티면서 긴 세월 동안 연골은 닿을 수밖에 없습니다. 노화로 인해 연골이 소실되고, 다치거나 염증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어 만성적 염증, 통증이 발생합니다. 주로 40대 이후로 크기가 급격하게 줄어 관절에 움직임이 원활치 못하게 되고 연골세포에 염증이 생기고 기능이 저하됩니다. 치료에는 염증을 없애는데 초점을 맞춘 진통소염제나 항체의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염증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부작용도 많은 편이라 부담이 큰 편입니다. 콘드로이친은 아직은 효과에 대한 의견이 확실하진 않지만 항염 기능과 연골 성분 합성, 항퇴화 기능을 갖추면서 부작용이 덜한 편입니다.
3. 눈, 피부
콜라겐과 함께 피부에 분포하여 탄력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콘드로이친이 부족 시 탄력 감소로 주름이 쉽게 나타나고 피부 진정뿐 아니라 모공 수축 등에 관여하여 화장품에도 꼭 들어가는 필수 성분입니다. 또한 글루코사민과 같이 안구 점액 탄력을 유지하고 안구의 모양과 기능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각막을 구성하는 성분이기도 해서 각막 상피 세포의 상처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안약을 만들 때 들어가는 성분이기도 합니다.
4. 종류
광고 등을 통해 여러 제품들이 나오는데 크게 보면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으로 볼 수 있는데 건기식 제품과 의약품은 효능, 효과, 허가, 관리 등 모든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편입니다. 어느 쪽이 더 높은 수준일까는 잘 생각해보면 나오는 답입니다. 의약품 중 콘드로이친을 함유한 제품들은 주로 신경통과 관절 피로 해소에 좋은 비타민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 부작용
일반적으로 부작용 없이 안전한 편이고 하루 섭취량 1200mg인데 조절하면서 복용 가능합니다. 과섭취 시 소화기 관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출혈 가능성이 높은 환자 등은 주의하셔야 합니다.
'약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 건강(우루사, 실리마린, 아르기닌) (0) | 2022.11.29 |
---|---|
뼈 건강(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D)골다공증 (0) | 2022.11.28 |
눈 건강(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 비타민A, 오메가) (0) | 2022.11.25 |
피임약 비교 (0) | 2022.11.22 |
진통제 비교 성분 알아보기(ex 타이레놀,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 (1) | 2022.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