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나 TV, 컴퓨터 사용이 부쩍 많아진 현대 사회에 눈 건강에 대한 위협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눈이 갑자기 충혈, 피로해지고 외관상 보기에도 안 좋은 증상이 호소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흔히 볼 수 있고 경각심을 갖게 이상신호를 보여주는 충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충혈
결막에 있는 혈관들이 확장되어서 혈류가 모여 흰자위, 공막이 빨갛게 보이는 형태를 말합니다. 결막 혈관 중 하나가 파열되어 결막하출혈이 생길 때도 충혈이라고 종종 표현하지만 이는 다른 증상으로 봐야 합니다. 눈 충혈은 결막 혈관 확장, 증식을 의미.
원인에는?
- 감염 -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결막염으로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이 있고 그중 바이러스성이 흔함.(눈 이야기 - 결막염 :: 눈꽃약사 노트 (tistory.com)) 참조
- 염증 - 각종 염증성 질환(결막염, 눈꺼풀염, 안구건조, 포도막염 등)에 의해 염증으로 혈관 확장, 증식으로 충혈.
- 산소 부족 - 결막에 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산소 투과율이 낮아져 혈관 확장, 증식으로 충혈.
- 기타 - 외상, 녹내장 치료약물, 안압이 높은 환자
- 결막하충혈 - 외상이나 기침, 재채기가 심하게 할 경우, 고혈압, 와파린 복용환자 등에서 발생하기도 함.
증상으로는?
결막염으로 인한 충혈에 경우 눈동자와 먼 부분에서 가장 심한 편이고 동자 쪽으로 오면서 약화됨. 각막, 홍채의 염증이 생겨 충혈이 일어나면 결막염과 반대로 눈동자 부분에 가장 심하고 먼 부분에서 약해져서 충혈 정도가 연해짐.
치료방법은?
충혈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우선, 단순하게 충혈만 줄이는 약물은 사용을 신중히.
감염으로 인해 결막염에 의해 충혈일 때는 항생제 점안제, 소염제 등을 사용, 알러지성일 때는 추가로 항히스타민 점안제, 경구제 투여 고려. 포도막염인 경우는 경구 소염제도 고려. 녹내장의 경우 안압강하제 투여 고려.
렌즈 착용으로 인한 충혈의 경우에는 렌즈 착용을 중단하여 결막 표면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만들어 치료. 결막하출혈의 경우 외관상 큰 문제처럼 보이지만 2-3주에 걸쳐 출혈은 자연적으로 흡수되어 소실되므로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안구건조, 눈꺼풀염의 경우 온찜질, 인공눈물로 충혈 증상을 경감.
그러나 시력이 저하되거나 각막이 뿌옇게 변하고 안구 통증 등 특별한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즉시 안과방문하여 치료
'질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이야기 - 눈 마사지, 온찜질, 안구 건조 (0) | 2023.01.06 |
---|---|
눈 이야기 - 라식, 라섹, 스마일, 렌즈삽입 비교 차이 분석 (0) | 2023.01.02 |
눈 이야기 - 포도막염(ft 결막염) (1) | 2022.12.26 |
눈 이야기 - 노안, 노인 다초점렌즈, 돋보기, 침침 (0) | 2022.12.23 |
눈 이야기 - 약시(소아), 시력 저하 (0) | 2022.12.22 |
댓글